본문 바로가기

IT/IT뉴스

5m거리서도 무선충전 가능…KAIST 세계 최장거리 기록


【대전=뉴시스】이시우 기자 =


【대전=뉴시스】이시우 기자 = KAIST 연구진이 5m 떨어진 거리에서 스마트폰 40대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양의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데 성공했다. 

그동안 기록된 무선 전력 전송 거리 중 세계 최장거리 기록이다. 

KAIST(총장 강성모)는 원자력및양자공학과 임춘택 교수(51)가 다이폴 코일 공진방식(DCRS, Dipole Coil Resonance System)을 사용해 5m 떨어진 곳에 209W(와트)의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5m 떨어진 거리에서 스마트폰 40대를 동시에 충전하거나 선풍기 5대, 초대형 LED TV를 켤 수 있는 수준이다.

무선 전력 전송기술은 지난 2007년 미국 MIT에서 2.1m거리에 60W 전력을 전송하는데 성공한 이후 주목을 받았지만 제작이 어려운데다 효율도 낮아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연구진은 다이폴(dipole) 코일 공진방식(DCRS)을 개발, 기존 무선 전력 전송기술의 단점을 극복했다.

【대전=뉴시스】이시우 기자 = 17일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임춘택 교수(51) 연구팀이 교내 유레카관 실험실에 설치한 200W급 무선 충전 시설. 이를 이용할 경우 5m 떨어진 거리의 LED TV를 켤 수 있다. 2014.4.17. (사진=KAIST 제공) photo@newsis.com


이 방식은 컴퓨터 주 기억 소자나 논리 소자에 사용되는 페라이트 코어를 쌍극자(dipole) 구조의 송신, 수신 코일 두 개로 만들어 전력을 전송하는 방법이다.

구조가 단순하고 부피가 크게 줄어든데다 기존보다 안정적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게 됐다.

또 인체나 금속파편이 주변에 있더라도 전력을 전송할 수 있어 기존보다 2배 먼거리에 3배 이상 많은 저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이미 ㈜한수원과 공동으로 원전 중대사고시 격납건물 필수계측기용 소형 비상전원을 개발하는 과정에 이 기술을 적용, 7m 거리에 10W의 전력을 전송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KAIST 임춘택 교수는 "기존 기술에 비해 전송거리는 2배, 전송전력은 3배 이상으로 높여 장거리 무선전력전송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와이파이 존(Wi-Fi Zone)처럼 특정 장소에 접근하면 별도의 충전기가 필요 없이 무선으로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올해 3월 국제전기전자공학회 전력전자 저널(IEEE Trans. on Power Electronics)에 게재됐다.


기사출처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3&aid=0005799790&sid1=001